서울 선릉과 정릉 교통, 주차정보와 입장요금정보
안녕하세요?
요즘 나들이하기 좋은 날씨입니다.
시원한 가을바람을 맞으며 서울 선릉과 정릉에 다녀왔습니다.
서울 선릉과 정릉은 서울시 강남구 선릉로 100길에 위치해 있습니다.
[서울 선릉과 정릉 교통편]
서울 선릉과 정릉 가는 길은 대중교통편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1. 지하철
2호선과 분당선 선릉역 10번 출구로 나오면 됩니다
9호선 선정릉역 3번 출구로 나오면 됩니다.
2. 버스
472, 6411, 4412, 3426, 146, 333, 341, 360, 740, 강남07 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짠! 서울 선릉과 정릉에 도착했습니다.
[관람요금 안내]
만 25세~만 64세는 인당 1,000원 입니다.
단체 10인 이상 이용시엔 800원입니다.
1. 유료관람요금
- 상시관람권 : 1개월내 10,000원
- 시간제 관람권 : 1년 내 30,000원 (06:00~ 09:00, 11:30~13:30)
- 점심시간 관람권 : 3개월 내 10회 3,000원 (11:30~13:30)
2. 무료 관람 대상
- 만 6세 이하 어린이(외국인 포함)
- 만 7세~만 24세 이하, 만 65세 이상 국민
- 군복입은 현역군인, 병역명문가증 소지자
- 한복착용자
-개별법령에서 감면된자, 효행우수자
- 만 65세 이상 외국인 등
3. 50% 할인
- 강남구 지역주민
- 장기복무제대군인 (1일권만 해당)
[주차장 요금 안내]
자가차량 이용시 주차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테헤란로를 지나 테헤란로 69길을 따라오면 서울 선릉과 정릉입구에 도착합니다.
주차장 운영시간은 06:00~22:00입니다.
2시간 이하 주차시 5분당 400원이며,
2시간 초과 주차시 5분당 600원입니다.
무인시스템이므로 신용카드로만 결제되니 꼭 신용카드를 지참하시기 바랍니다.
입구에 들어서면 곳곳에 관람안내판이 있습니다.
화살표를 따라 걷습니다.
조선왕릉은 인류의 문화유산 그 가치를 인정받아 2009년 6월 30일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조선왕릉은 죽은 자가 머무는 성의 공간과 산 자가 있는 속의 공간이 만나는 곳으로 그 공간적 성격에 따라 세 부분, 능침공간, 제향공간, 진입공간으로 나눕니다.
능침공간은 왕과 왕비의 봉분이 있는 공간입니다.
제향공간은 죽은 자와 산 자가 함께 하는 영역으로 제사를 지내는 공간입니다.
진입공간은 왕릉의 관리와 제례 준비를 위한 공간입니다. 대표적인 공간으로는 재실이 있습니다.
잔디와 나무들이 웅장하면서도 멋스럽습니다.
정릉은 조선 제11대 중종의 능입니다.
중종은 성종과 정현왕우의 아들로 태어나 1494년 진성대군에 봉해졌습니다. 이후 1506년 중종반정으로 왕위에 올랐습니다.
선릉은 조선 제9대 성종과 정현왕후의 능입니다.
정자각 앞에서 바라보았을 때 왼쪽언덕이 성종, 오른쪽 언덕이 정현왕후의 능입니다.
성종은 덕종와 소혜왕후의 둘째아들입니다. 1469년에 예종이 세상을 떠나자 13세에 왕위에 올랐습니다.
재위 25년에 38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정현왕후 윤씨는 1473년 성종의 후궁으로 간택되었고, 1480년 왕비로 책봉되었습니다. 연산군이 왕위에 오른 후 자순왕대비가 되었으며, 1506년에 중종반정으로 연산군을 폐위하고 아들 지성대군의 즉위를 허락하였습니다.
69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제향일은 다음과 같습니다.
성종:매년 12월 24일(음력)
정현왕후:매년 8월 22일(음력)
중종: 매년 12월 9일 (양력)
선릉과 정릉은 도심 속 빌딩과 멋드러진 나무들이 어우러져 웅장하면서도 특이한 장면을 자아냅니다.
한 바퀴 둘러보는데 대략 1시간 정도 소요됩니다.
상쾌한 공기를 마실 수 있으며 중간중간 앉아서 쉴 수 있는 곳이 있습니다.
도심 속 문화 유산 서울 선릉과 정릉을 꼭 한 번 다녀오시기 바랍니다.